apache
-
[Apache] Load Balancing 설정LINUX/Apache 2021. 7. 1. 22:49
오랜만에 포스팅을 작성한다. 이번 포스팅은 Apache에서 Load Balancing 설정하는 방법을 작성하려고 한다. Apache 2.4.29(Ubuntu) 기준으로 작성한다. 먼저 아래의 2개를 활성화해준다. # a2enmod proxy_balancer # a2enmod lbmethod_byrequests 아래를 참고하여 로드 밸런싱 설정을 추가한다. BalancerMember은 로드 밸런싱 할 WAS들의 IP:PORT를 설정한다. 필자는 WAS 2대로 로드 밸런싱 설정을 했다. # vim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ServerAdmin alsdud154@rigel.kr ServerName upbit.velnova.co.kr BalancerMem..
-
[SSL] Apache 서브 도메인 SSL 적용LINUX/SSL 2020. 4. 22. 18:07
이번 포스팅은 아파치 서브 도메인에 SSL을 적용하려고 한다. root 계정으로 certbot을 설치한다. 폴더를 생성하고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index.html을 복사한다. 필자는 기본 아파치 html 폴더를 복사하였다 그 다음 000-default.conf 파일에 해당 내용을 추가 후 아파치를 재시작한다. $ sudo su - # apt-get install -y certbot # cd /var/www # mkdir gitlab.alsdud154.kr # cp -R html gitlab.alsdud154.kr # vim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ServerAdmin alsdud154@rigel.kr ServerName gitla..
-
[Apache] Ubuntu Apache SSL 적용LINUX/SSL 2020. 4. 22. 17:33
이번 포스팅은 Apache에 SSL 인증서를 적용하려고 한다. 먼저 공유기 443 외부, 내부 포트를 연다. root 계정으로 openssl을 다운로드 한다. /etc/apache2에서 ssl 폴더를 생성 후 ssl 폴더로 이동한다. CA 인증서를 생성 후 사용할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한다. 명렁어 입력 후 비밀번호를 입력을 하고 모두 엔터를 누르고 CSR을 생성한다. 편의를 위해 개인키 암호를 제거한다. CRT 인증서를 생성한다. 인증서 인코딩 포맷을 변경한다. 그 다음 인증서를 활성화 시킨 후 443 포트 방화벽을 연다. 파일과 폴더의 권한을 변경 후 443 포트가 실행됬는지 확인한다. https://아파치 내부 IP 로 접속했을 때 아래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성공이다. $ sudo su - # apt..
-
[Apache] Apache Web Server 도메인 설정LINUX/Apache 2020. 4. 22. 17:09
이번 포스팅은 아파치 웹 서버(우분투 1)를 이용하여 다른 was 서버(우분투 2)를 호출하려고 한다. 먼저 도메인이 필요하다. 필자는 https://www.hosting.kr/에서 도메인을 샀다. hosting 설정은 됬다는 가정하에 진행한다. 먼저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을 한다. ip는 아파치 웹 서버 내부 ip를 입력한다. 포트번호는 외부 내부 둘다 80으로 설정한다. root 계정으로 apache2를 다운로드 후 해당 경로에 logs 폴더를 생성한다. 그 다음 sites-available 폴더로 이동한다. $ sudo su - # apt-get install -y apache2 # cd /etc/apache2 # mkdir logs # cd sites-available 다음 명렁어를 입력 후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