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
[Tomcat] 우분투 부팅 시 Tomcat 다른 계정으로 자동 실행LINUX/Tomcat 2020. 10. 21. 10:07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 부팅시 Tomact을 root가 아닌 다른 계정으로 자동 실행하려고 한다. 전에 필자가 쓴 포스팅을 참고하고 /etc/init.d/ 에 만든 파일 설정을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start 부분만 확인하면 된다. 먼저 본인 계정으로 로그인 후 -c 옵션을 사용하여 Tomcat을 실행하면 된다.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omcat # Required-Start: $remote_fs $syslog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auto start Tomcat server # ..
-
[PostgreSQL] 우분투 PostgreSQL 10 설치LINUX/PostgreSQL 2020. 10. 20. 12:52
이번 포스팅에서는 PostgreSQL 10 버전을 설치하려고한다. 간단함으로 바로 시작한다. 설치 후 postgres console에 접속하면 된다. # apt-get install postgresql-10 -y # sudo -u postgres psql 외부에서 postgreSQL을 접속하기 위한 설정을 한다. # vim /etc/postgresql/10/main/postgresql.conf listen_addresses = '*' # vim /etc/postgresql/10/main/pg_hba.conf hostnossl all all 0.0.0.0/0 trust 정상적으로 외부에서도 접속된다.
-
[UBUNTU] 우분투 하드 용량 늘리기LINUX/Ubuntu 2020. 10. 11. 22:04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 하드 용량을 늘리려고 한다. Vmware에서 물리 용량을 늘렸다는 가정하에 진행한다. 필자는 20G -> 50G로 늘렸다. 먼저 현재 하드 용량을 확인해보자. # df -h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늘릴 하드의 번호를 확인한다. # parted print 확인한 하드의 번호를 입력 후 늘릴 용량을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하드 용량이 증가한다. # resize2fs -p /dev/sda2 # df -h
-
[MYSQL] MariaDB 15.1 버전 설치카테고리 없음 2020. 10. 10. 22:01
이번 포스팅은 MariaDB 15.1 버전을 설치하려고 한다. 아래와 같이 따라하면 설치할 수 있다. #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hkp://keyserver.ubuntu.com:80 0xF1656F24C74CD1D8 #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i386,ppc64el] http://sgp1.mirrors.digitalocean.com/mariadb/repo/10.2/ubuntu xenial main' # apt update # apt install mariadb-server # mysql --version
-
[ORACLE] 우분투 오라클 설치LINUX/ORACLE 2020. 10. 10. 12:25
오늘은 우분투에 오라클을 설치하려고 한다. 먼저 오라클 사이트에서 오라클 11g를 설치한다.www.oracle.com/downloads/#database rz를 사용하여 다운로드한 oracle-database-xe-18c-1.0-1.x86_64.rpm 파일을 업로드한다.# rz 압축을 풀어준다.# unzip oracle* Disk1 폴더로 이동한다.# cd Disk1/ alien libaio1 unixodbc를 다운로드 한다.# apt-get -y install alien libaio1 unixodbc rpm 파일을 deb파일로 변환한다.# alien --scripts -d oracle* 오라클을 설치한다.# dpkg --install oracle*.deb 오라클 설정을 한다.# /etc/init.d/o..
-
[CUBRID] 우분투 18.04 CUBRID 설치LINUX/Cubrid 2020. 6. 21. 19:45
이번 포스팅은 우분투 18.04에 CUBRID를 설치하고 서비스에 등록하여 자동 실행하려고 한다. 먼저 cubrid 계정을 생성 후 sudo 권한을 부여한다. $ sudo adduser cubrid $ sudo usermod -aG sudo cubrid 그 다음 해당 url에서 CUBRID 10.1 Linux 64bit를 다운받는다. https://www.cubrid.com/downloads CUBRID | 다운로드 PHP 5.6 / Windows 32Bit (VC11, TS) Download PHP 5.6 / Windows 32Bit (VC11, NTS) Download PHP 5.6 / Windows 64Bit (VC11, TS) Download PHP 5.6 / Windows 64Bit (VC11,..
-
[SSL] Apache 서브 도메인 SSL 적용LINUX/SSL 2020. 4. 22. 18:07
이번 포스팅은 아파치 서브 도메인에 SSL을 적용하려고 한다. root 계정으로 certbot을 설치한다. 폴더를 생성하고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index.html을 복사한다. 필자는 기본 아파치 html 폴더를 복사하였다 그 다음 000-default.conf 파일에 해당 내용을 추가 후 아파치를 재시작한다. $ sudo su - # apt-get install -y certbot # cd /var/www # mkdir gitlab.alsdud154.kr # cp -R html gitlab.alsdud154.kr # vim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ServerAdmin alsdud154@rigel.kr ServerName gitla..
-
[Apache] Ubuntu Apache SSL 적용LINUX/SSL 2020. 4. 22. 17:33
이번 포스팅은 Apache에 SSL 인증서를 적용하려고 한다. 먼저 공유기 443 외부, 내부 포트를 연다. root 계정으로 openssl을 다운로드 한다. /etc/apache2에서 ssl 폴더를 생성 후 ssl 폴더로 이동한다. CA 인증서를 생성 후 사용할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한다. 명렁어 입력 후 비밀번호를 입력을 하고 모두 엔터를 누르고 CSR을 생성한다. 편의를 위해 개인키 암호를 제거한다. CRT 인증서를 생성한다. 인증서 인코딩 포맷을 변경한다. 그 다음 인증서를 활성화 시킨 후 443 포트 방화벽을 연다. 파일과 폴더의 권한을 변경 후 443 포트가 실행됬는지 확인한다. https://아파치 내부 IP 로 접속했을 때 아래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성공이다. $ sudo su - # a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