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자동 배포 시스템] 4. Jenkins 설치하기LINUX/Jenkins 2019. 11. 5. 14:58
이번 포스팅에서 Jenkins를 설치하려고 한다. 정말 간단해서 바로 시작하겠다. Jenkins를 업데이트 후 설치한다. $ sudo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jenkins-ci.org.key | sudo apt-key add - $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jenkins Jenkins port 번호를 변경한다. 필자는 9300으로 변경했다. jenkins user를 본인 ID로 바꿔주자. $ sudo vim..
-
[자동 배포 시스템] 3. Tomcat 설치하기LINUX/Tomcat 2019. 11. 5. 14:34
이번 포스팅에서는 Tomcat을 설치하려고 한다. 먼저 tomcat.tar.gz를 다운로드 후 압축을 해제 한다. 그리고 /usr/local/ 경로로 Tomcat을 복사한다. $ curl -O http://apache.mirror.cdnetworks.com/tomcat/tomcat-8/v8.5.47/bin/apache-tomcat-8.5.47.tar.gz $ gunzip apache-tomcat-8.5.47.tar.gz $ tar -xvf apache-tomcat-8.5.47.tar $ cp -r apache-tomcat-8.5.47 apache-tomcat-8.5.47-test $ sudo mv apache-tomcat-8.5.47-test /usr/local Tomcat에 구동시킬 소스 폴더를 만든다..
-
[OpenJDK] 우분투 14.04에 OpenJDK 8 설치하기LINUX/Ubuntu 2019. 11. 5. 10:13
필자는 우분투 14.04를 사용중이다. 기본적으로 14.04에는 OpenJDK 8이 없어서 ppa를 이용하여 설치하려고 한다. 먼저 OpenJDK 8이 있는지 확인한다. 있으면 바로 설치하면 된다. # apt-cache search openjdk 필자는 OpenJDK 8이 없기 때문에 ppa를 통해 업데이트하려 한다. # add-apt-repository ppa:openjdk-r/ppa # apt-get update OpenJDK 8을 설치한다. 설치 후 기본 경로는 /usr/lib/jvm/java-8-openjdk-amd64 이다. # apt-get install -y openjdk-8-jdk 마지막으로 설치된 자바 버전을 확인한다. # java -version
-
[자동 배포 시스템] 2. Gitlab 서버 구축하기LINUX/GitLab 2019. 11. 4. 19:04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lab 서버를 구축한다. 정말 간단함으로 바로 시작하겠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 su openssh-server와 ca-certificates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y curl openssh-server ca-certificates smtp 서버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y postfix Gitlab 패키지를 설치한다. #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ee/script.deb.sh | sudo bash 접속 IP:PORT를 설정 후 Gitlab을 설치한다.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인내를 가지고 기다리면 설치가 된다. # ..
-
[자동 배포 시스템] 1. 우분투에 MySQL 서버 설치LINUX/MySQL 2019. 11. 4. 15:56
필자는 GitLab, Jenkins, Tomcat, MySQL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한다. 자동 배포 시스템을 구축 하지 않으면 매번 수정된 소스를 서버에 배포 하려면 war파일을 만들어 수작업으로 배포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먼저 MySQL 서버를 설치하려고 한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 su mysql-server를 설치 중 초기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하면 설치된다. # apt-get install mysql-server-5.7 -y MySQL 포트(3306) 방화벽을 열어준다. # ufw allow mysql Rules updated Rules updated (v6)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 /usr/bin/mysql -u root -p 새로운 데이터..
-
[OpenVPN] 2. Windows OpenVPN Client 설치LINUX/OpenVPN 2019. 10. 20. 16:25
전 포스팅에서는 우분투에 OpenVPN 서버를 설치하였다. 이제 OpenVPN Client를 설치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하려고 한다. 먼저 iptime 포트포워드 설정을 한다. 내부 IP주소는 우분투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프로토콜은 TCP/UDP를 선택한다. 내부 포트는 server.conf 에서 설정한 4433 포트를 입력한다. 외부 포트는 내부 포트와 동일한 포트를 입력하는게 좋다. 필자는 4433 포트는 사용중이므로 4434 포트를 사용한다. 독자들은 4433 포트를 사용하자. 다음으로 iptime 외부 IP를 DDNS 설정을 한다. root 계정으로 접속 후 openvpn을 설치한 폴더로 이동한다. $ su # cd /home/test/easy-rsa-2.2.2/easy-rsa/2.0/..
-
[OpenVPN] 1. 우분투에 OpenVPN 서버 설치하기LINUX/OpenVPN 2019. 10. 20. 13:30
오늘은 우분투에 OpenVPN 서버를 설치하려고 한다. 필자는 ssh 프로그램인 secureCRT를 사용하여 진행하려고한다. 우분투 서버에서 직접 터미널을 이용해서도 가능하지만 더 편하게 작업하려면 ssh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하자. (ex = putty, sevureCRT 등) 먼저 openvpn을 다운받는다.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su // 패키지에 sign을 하기 위한 공용 GPG key 다운로드 한다. # wget -O - https://swupdate.openvpn.net/repos/repo-public.gpg|apt-key add - // Key 적용유무 확인한다. # apt-key list | grep openvpn uid Samuli Seppänen (OpenVPN Tec..
-
[Ubuntu] Vmware를 이용한 Ubuntu 14.04.6 LTS 설치법LINUX/Ubuntu 2019. 10. 13. 15:57
Vmware를 이용하여 Ubuntu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모든 포스터의 목적은 초보자도 따라만 하면 할수 있는것이다. 이유는 필자도 초보자이여서 나중에 참조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이론은 부족할 수 있다. http://releases.ubuntu.com/14.04/ 64-bit PC (AMD64) desktop image를 클릭하여 이미지를 다운로드 한다. Vmware를 실행 후 Ctrl + N를 눌러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한다. 아래 그림을 따라한다. 현재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지 않는다. 기본 설정 후 세팅에서 부팅 이미지를 선택할 예정이다. 프로세서는 취향 것 선택한다. 메모리도 취향 것 선택한다. 네트워크는 브릿지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다음 포스터에서 OpenVPN 설치 시 브릿지를 이용할 것이다. ..